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자산을 형성하고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주요 내용과 신청 방법, 조건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의 정의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정부 예산안에 포함된 정책으로, 만 19세에서 34세의 청년들이 생활 안정과 자산 형성을 위해 월 최대 70만 원을 5년 동안 납입하면 만기 시 5,000만 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필요성
현재 많은 청년들이 자산 형성과 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청년도약계좌를 도입하여 청년들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가입 대상 및 요건
가입 대상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대상은 만 19세부터 만 34세까지의 청년으로, 아래의 개인소득 및 가구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개인소득 요건: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요건: 중위소득 180% 이하
외국인도 가입이 가능하지만,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에서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신청 기간
2023년 6월 15일부터 6월 21일까지는 출생연도 기준 5부제로 신청이 가능하며, 6월 22일과 23일에는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후 매월 2주간의 신청 기간이 운영될 예정입니다.
기여금 지급 구조
청년도약계좌의 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다르게 지급됩니다. 이는 소득이 낮은 가입자에게 더 많은 기여금을 지원하기 위한 구조입니다.
개인소득 | 월 기여금 지급 한도 | 기여금 매칭비율 |
---|---|---|
2,400만원 이하 | 70만원 | 6.0% |
3,600만원 이하 | 50만원 | 4.6% |
4,800만원 이하 | 60만원 | 3.7% |
6,000만원 이하 | 70만원 | 3.0% |
은행별 금리
청년도약계좌는 3년간 고정금리, 2년간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아래 표는 각 은행의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를 나타냅니다.
은행명 | 기본금리 | 우대금리 |
---|---|---|
농협 | 4.5% | 1.0% |
신한 | 4.0% | 1.5% |
우리 | 4.0% | 1.5% |
하나 | 4.0% | 1.5% |
국민 | 4.0% | 1.5% |
대구 | 4.0% | 1.5% |
부산 | 3.8% | 1.7% |
경남 | 3.8% | 1.7% |
광주 | 3.8% | 1.7% |
기본금리가 높은 은행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각 은행의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서류 없이 개인소득 및 가구소득 확인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해당 은행의 앱에서 “청년도약계좌”를 검색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각 은행의 콜센터나 서민금융진흥원의 서민금융콜센터(☎️ 1397)를 통해 추가적인 문의가 가능합니다. 주요 은행의 연락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기관명 | 연락처 |
---|---|
국민은행 | 1588-9999 |
신한은행 | 1577-8000 |
우리은행 | 1588-5000 |
하나은행 | 1588-1111 |
농협은행 | 1661-3000 |
자주 묻는 질문
개인소득이 없는 청년도 가입할 수 있나요?
가입 가능 여부는 국세청에서 소득금액 증명이 가능한 경우에 한합니다. 따라서 소득이 없거나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청년 부부가 각각 가입할 수 있나요?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이 가입 요건을 충족하면 가구당 계좌 개설에 제한이 없습니다. 따라서 부부가 각각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입 후 소득이 증가하면 어떻게 되나요?
가입 이후의 소득 증가가 가입 자격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가입 후 소득이 증가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매월 70만 원을 반드시 납입해야 하나요?
청년도약계좌는 자유적립식 상품이므로, 최대 납입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금액을 결정하여 납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미래를 위한 중요한 자산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자신의 상황을 고려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