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의 추가 모집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모집은 4월 30일 오후 6시까지 농림사업정보시스템을 통해 접수 가능하며, 도별 인원수에 제한 없이 적합한 대상자를 선발할 계획입니다.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 개요
사업의 목적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은 정부가 2022년부터 시작하여, 2027년까지 청년농업인 3만 명을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매년 지원 대상자를 설정하고 있으며, 올해는 5,000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모집 현황
2024년 현재, 사업 신청자는 5,800명이었으나 서류 및 면접에서 탈락자가 많아 최종 선발 인원이 4,528명에 그쳤습니다. 이는 사업 시행 이후 처음으로 선발 인원이 미달된 상황입니다. 이번 추가 모집을 통해 전국에서 472명을 선발할 예정입니다.
선발 기준 및 지원 내용
지원 기준 완화
이번 추가 모집에서는 기준중위소득이 120%에서 140%로 완화되었습니다. 4인 가족 기준으로 직장 가입자의 본인부담액이 기존 23만 원에서 27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청년들이 지원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영농계획서의 중요성
지원사업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5년간의 영농계획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많은 탈락자가 영농계획서의 내용이 미흡하거나 빈칸이 많았다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구체적인 계획 수립과 영농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 지역 | 목표 모집 인원 | 선발 인원 |
|---|---|---|
| 경남 | 556명 | 497명 |
| 전남 | 787명 | 740명 |
| 경기 | 570명 | 541명 |
| 경북 | 870명 | 838명 |
추가 모집 절차 및 일정
추가 모집에 대한 서면 평가는 5월 7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되며, 면접 평가는 5월 20일부터 24일까지 실시됩니다. 최종 대상자 발표는 5월 31일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번 모집에서 선발된 청년농업인은 2025년 2월 28일까지 농업경영체를 등록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에 어떻게 신청하나요?
농림사업정보시스템을 통해 4월 30일 오후 6시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영농계획서는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요?
영농계획서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계획을 담아야 하며, 빈칸이 없도록 작성해야 합니다.
추가 모집에서 선발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기준중위소득 140% 이상으로 완화되며, 서류와 면접에서 영농 의지와 목표가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탈락자는 어떤 이유로 탈락하나요?
주요 이유는 영농계획서의 미흡, 제출 서류 누락, 자격 미달 등입니다.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서둘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정보는 청년농업인 전용 콜센터(1670-0255)를 통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