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이나 고립으로 인해 도움이 필요한 중장년 또는 아픈 가족을 돌보는 청년을 위한 일상돌봄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직접 경험해보니, 이 서비스를 통하면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더라고요. 신청 대상, 방법, 서비스 상세 내용 및 지역별 특화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아래에서 정리해드릴게요.
- 1. 일상돌봄서비스 신청대상 및 조건
- 2. 일상돌봄서비스 신청방법
- 신청 과정
- 3. 일상돌봄 서비스 내용
- 3-1. 기본서비스
- 3-2. 특화서비스
- 4. 서비스 제공 방법
- 서비스 단계별 정보
- 5. 소득수준별 본인부담금
- 6. 서비스 시행 지역 리스트
- 7. 지자체별 담당자 연락처
- 8. 지역별 특화서비스 상세내용
- 8-1. 서울, 부산
- 8-2. 대전, 울산, 경기도, 강원도
- 8-3. 충남, 전북
- 8-4. 전남, 경북, 경남, 제주
- 자주 묻는 질문 (FAQ)
- 일상돌봄서비스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나요?
-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 서비스 제공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 담당자에게 직접 문의할 수 있나요?
- 함께보면 좋은글!
1. 일상돌봄서비스 신청대상 및 조건
이 서비스는 질병이나 부상으로 일상생활이 불편한 중장년층과 아픈 가족을 돌보는 청년을 포함합니다. 제 경험에 따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니 꼭 확인해보셔야 해요. 각 지자체마다 일부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이번에 살펴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청대상
대상 | 연령 제한 | 조건 |
---|---|---|
돌봄이 필요한 중장년 | 만 40~64세 | 질병, 부상 등으로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있는 상태 |
가족돌봄청년 | 만 13~34세 | 아픈 가족을 돌보거나 그로 인해 생계를 책임지는 상태 |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신다면 신청이 가능하니 잊지 마세요!
2. 일상돌봄서비스 신청방법
일상돌봄서비스는 거주 중인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제가 직접 확인해본 결과, 지자체에서 검토 후 대상자로 선정되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어요. 다음은 서비스 신청 과정을 간단히 정리한 절차입니다:
신청 과정
-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필요한 서류 제출
- 지자체에서 검토하고 대상자 선정
- 기본서비스 또는 특화서비스 중 선택
- 읍면동 또는 시군구에서 서비스별 바우처 제공
정말 간단하죠?
3. 일상돌봄 서비스 내용
일상돌봄서비스는 크게 기본서비스와 특화서비스로 나뉩니다. 제가 경험해본 서비스는 매우 유용했어요.
3-1. 기본서비스
기본서비스는 재가돌봄과 가사 지원으로 나뉩니다. 개인별로 이용시간과 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요. 이 외에도 일상외출을 할 때 동행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 서비스 내용 |
---|---|
재가돌봄 | 가정 방문하여 일상생활 및 신체활동 지원 (세면, 옷입기 등) |
가사 지원 | 가정 방문하여 청소, 식사준비 등 가사 지원 |
동행 지원 | 은행업무, 장보기 등의 외출을 함께 지원 |
이런 점에서 서비스 이용이 매우 편리하더라고요.
3-2. 특화서비스
특화서비스는 중장년과 청년으로 나뉩니다. 개인의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되며, 정말 많은 선택지가 있답니다.
대상 | 서비스 종류 | 서비스 내용 | 시간 | 비용 |
---|---|---|---|---|
중장년 | 식사·영양관리 | 맞춤형 식사 지원 및 영양관리 | 주 3회 이상 | 월 25만원 |
병원 동행 | 병원 접수 및 수납 등 동행 보조 | 월 16시간 이내 | 월 24만원 | |
심리 지원 | 맞춤형 심리 지원 | 월 4회 | 월 24만원 | |
청년 | 식사·영양관리 | 식사 준비가 어려운 가족 대상 맞춤 지원 | 주 3회 이상 | 월 25만원 |
간병교육 | 간병 및 돌봄 교육 제공 | 총 8회 | 과정당 15만원 |
서비스가 지역특성에 맞춰 제공되니 꼭 잘 확인해두세요.
4. 서비스 제공 방법
제 경험에 따라, 서비스는 소득수준이 아닌 돌봄 필요 수준에 따라 제공됩니다. 서비스 종류는 A~D형으로 구분되고 시간도 다르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서비스 단계별 정보
단계 | 기본서비스 | 기본서비스 시간 | 특화서비스(최대 이용한도) |
---|---|---|---|
A형 | 돌봄과 가사 모두 지원 | 36시간/월 | 1개 이용 |
B형 | 가사만 지원 | 12시간/월 | 2개 이용 |
C형 | 돌봄과 가사 모두 지원 | 72시간/월 | – |
D형 | 특화서비스만 지원 | – | 2개 이용 |
확실히 필요에 따라 서비스가 맞춤형으로 제공되어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5. 소득수준별 본인부담금
일상돌봄서비스는 소득과 관계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하지만, 소득에 따라 본인부담금이 있을 수 있어요. 이에 대해 제가 조사한 바를 정리했습니다.
기준중위소득 | 기본서비스 | 특화서비스 |
---|---|---|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면제 | 5% |
120% 이하 | 10% | 20% |
120~160% | 20% | 30% |
160% 초과 | 100% | 100% |
2023년부터 시행되므로 꼭 미리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겠어요.
6. 서비스 시행 지역 리스트
이 서비스는 2023년 하반기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현재 37개 시군구에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제가 알아본 바로는 더 많은 지역이 향후 추가될 예정이니 기대해 보셔야 스고. 현재 시행되는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도 | 시군구 | 지원대상 |
---|---|---|
서울 | 서대문구 | 청년 |
부산 | 영도구, 남구 | 중장년 |
대전 | 동구 | 중장년 |
울산 | 중구 등 | 중장년·청년 |
경기 | 광주시 등 | 중장년·청년 |
강원 | 동해시 | 중장년·청년 |
충남 | 천안시 등 | 중장년·청년 |
전북 | 전주시 등 | 중장년·청년 |
전남 | 영암군 등 | 중장년·청년 |
경북 | 안동시 등 | 중장년·청년 |
경남 | 김해시, 창원시 | 중장년 |
제주 | 제주시 | 중장년·청년 |
각 지역의 특화서비스도 충분히 확인하셔야겠죠?
7. 지자체별 담당자 연락처
필요할 경우 직접 문의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각 지자체의 담당자 연락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도 | 부서 | 담당자 연락처 |
---|---|---|
서울 | 복지정책과 | 02-2133-7347, 02-2133-7345 |
부산 | 복지정책과 | 051-888-3151, 051-888-3153 |
대전 | 복지정책과 | 042-270-4624, 042-270-4620 |
울산 | 복지정책과 | 052-229-3425, 052-229-3421 |
경기도 | 복지사업과 | 031-8008-5218, 031-8008-3316 |
강원도 | 복지정책과 | 033-249-2419, 033-249-2440 |
충남 | 복지보육정책과 | 041-635-4281, 041-635-4233 |
전북 | 사회복지과 | 063-280-4676, 063-280-2517 |
전남 | 사회복지과 | 061-286-5743, 061-286-5740 |
경북 | 사회복지과 | 054-880-3738, 054-880-3735 |
경남 | 복지정책과 | 055-211-4825, 055-211-4822 |
제주 | 복지정책과 | 064-710-4362, 064-710-4361 |
편리하게 연락하셔서 궁금한 점을 해결해보세요.
8. 지역별 특화서비스 상세내용
지역별 특화서비스의 상세내용을 한번 살펴볼까요?
8-1. 서울, 부산
- 서울 서대문구: 가족돌봄청년 대상
- 부산 영도구, 남구, 북구, 해운대구, 수영구: 돌봄필요 중장년 대상
8-2. 대전, 울산, 경기도, 강원도
- 대전 동구: 중장년 대상
- 울산: 중구, 남구, 동구, 북구, 울주군: 중장년 및 가족돌봄청년 대상
- 경기: 광주시, 광명시, 남양주시, 용인시, 이천시: 중장년 및 가족돌봄청년 대상
- 강원도 동해시: 중장년 및 가족돌봄청년 대상
8-3. 충남, 전북
- 충남: 천안시, 공주시, 보령시 등: 중장년 및 가족돌봄청년 대상
- 전북: 전주시, 군산시, 남원시, 김제시: 중장년 및 가족돌봄청년 대상
8-4. 전남, 경북, 경남, 제주
- 전남: 영암군, 해남군: 중장년 및 가족돌봄청년 대상
- 경북: 안동시, 구미시, 의성군, 칠곡군: 중장년 및 가족돌봄청년 대상
- 경남: 김해시, 창원시: 중장년 대상
- 제주: 제주시: 중장년 및 가족돌봄청년 대상
각 지역에 맞는 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점 꼭 기억해두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일상돌봄서비스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나요?
네, 일상돌봄서비스는 소득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
서비스 제공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서비스 제공은 기본서비스와 특화서비스로 나눠져 있으며, 개인의 필요에 따라 조정됩니다.
담당자에게 직접 문의할 수 있나요?
네, 각 지역별 담당자 연락처를 통해 궁금한 점을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일상돌봄서비스는 많은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책이니 꼭 활용해보기를 권장합니다. 각 지자체마다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니 자신의 상황에 맞게 신청해 보세요.
키워드: 일상돌봄서비스, 일상돌봄서비스 신청방법, 일상돌봄서비스 신청대상, 일상돌봄서비스 특화서비스, 일상돌봄서비스 기본서비스, 일상돌봄서비스 비용, 일상돌봄서비스 담당자 연락처, 일상돌봄서비스 지역별 내용, 일상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일상돌봄서비스 지원 내용, 일상돌봄서비스 소득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