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부터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를 위한 통합관리 서비스가 건강보험 적용을 받게 됩니다. 이는 지속적인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의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개요
통합관리 서비스의 도입 배경
고혈압과 당뇨병은 많은 한국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만성질환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9년부터 시행된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109개 지역에서만 제공되던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하게 되었습니다.
서비스 내용
환자가 동네 의원에서 통합관리 서비스를 신청할 경우, 의원에서는 맞춤형 관리 계획을 세우고 주기적인 교육 및 환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는 환자의 질병 관리와 생활 습관 개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수가 및 관리 시스템
수가 분류
2024년 의원급 기준으로 설정된 만성질환자 통합관리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가 항목 | 금액(원) | 주기당 최대 산정 횟수 |
|---|---|---|
| 포괄평가 및 계획수립료 | 초기 35,060, 2주기부터 27,500 | 1회 |
| 점검 및 평가료 | 27,500 | 2회 |
| 교육 상담료 | 13,630∼15,330 | 10회 |
| 환자관리료 | 11,070∼12,820 | 12회 |
본인부담금 및 지원금
통합관리 서비스에 참여하는 환자는 진료비의 20%를 본인부담으로 지불해야 하며, 적극적인 건강생활 실천을 통해 연간 최대 8만 원의 건강생활실천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지원금은 의원에서 본인부담금 결제 시 카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관리 서비스의 기대 효과
일차의료기관의 역할 강화
보건복지부는 이 서비스를 통해 일차의료기관의 역할을 강화하고, 환자가 스스로 고혈압과 당뇨병을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입니다. 이는 지역사회에서의 만성질환 관리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은 2024년 7월부터 2027년 6월까지 연장되며, 개인의 건강생활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이 시범사업의 참여자는 BMI, 혈압, 공복혈당 등의 개선을 통해 포인트를 지급받게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통합관리 서비스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환자는 가까운 의원에 방문하여 통합관리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본인부담금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본인부담금은 총 진료비의 20%로 계산되며, 건강생활실천지원금을 카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건강생활실천지원금은 어떤 활동에 대해 지급되나요?
걷기, 운동 등 건강생활 실천 및 통합관리 서비스 참여에 따라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통합관리 서비스는 언제부터 시행되나요?
2024년 8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됩니다.
이 서비스의 기대 효과는 무엇인가요?
환자가 스스로 만성질환을 관리하게 되어 질병 발생을 예방하고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